톰켓이 켜지자 마자 web.xml을 읽어서 DispatcherServlet 객체가 만들어지고 XML 설정파일에 (servlet-context.xml) 대해 스프링 컨테이너가 구동된다.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1 스프링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객체들 Servlet-content.xml 에 넣어둔 객체들을 관리한다. 해당 페키지에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것들은 스프링에서 관리를 한다. controller 컨트롤러 매개변수: request response session, 요청전달데이터이름, 커먼드 클래스 ..
공부내용 목차 정리 1. 의존관계 주입의 조건 2. 스프링 Ioc 용어 3. Bean 객체설정방법 --xml , 자바클래스로 설정 4. Bean 객체 사용법 1. 의존관계 주입의 조건 클래스모델이나 코드에는 런타임 시전의 의존관계가 드러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고 있어야한다. 런타임시전의 의존관계는 컨테이너나 팩토리 같은 제 3의 존재가 결정해야한다. = xml파일 의존관계는 사용할 오브젝트에 대한 래퍼런스들 외부에서 제공해줌으로써 만들어진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 IOC Container, Bean Factory , Spring DI 를 적용하려면 각 객체들을 생성 및 관리할 조립기가 필요하다. 개발자가 직접만들수도 있지만, 조립할 객체가 증가하고 의존관계가 복잡해 질수록 조합기를 만드는일..
공부한 내용 목차 정리 1. 자바빈 액션태그 : JSP 스크립트 태그를 변경하여 자바빈 태그로 사용하기 2. EL 태그 : 자바빈 액션태그의 한계와 EL 태그 이용 , JSP 스크립트태그를 변경하여 EL태그로 사용하기 3. JSTL 사용법 : EL기반의 조건문, 반복문 처리 가능함, JSTL용 라이브러리가 설치 되어 있어야함 1. 자바빈 액션태그 : , , JSP 스크립트 이전에 JSP 스크립트를 형태로 사용한 것을 자바빈 액션태그로 변경하여 사용해보겠다. getAttribute 로 list를 받아오고 list가 null일 때 새로 list 를 만들어 값을 setAttribute 한다. 이러한 스크립트 태그를 자바빈 액션태그로 변경해보았다. 자바빈 액션태그 JSP스크립트 자바빈 액션태그 JSP스크립트..
공부내용의 목차 정리 1. front servlet의 기능 2. DistpacherServlet 정의 및 사용 3. Default Servlet 정의 및 사용 4. ProductList , ProductDetail을 클래스로 만들어서 인터페이스 controller를 만들어 implements 함으로써 하나의 컨트롤러가 두개의 클래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5. front servlet에서 if else 사용하지 않고 properties 사용하기 6. 서블릿이 로드하는 작업을 요청할 때마다 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미리 로드할 수 있도록 코드를 수정하기 1. front servlet 클라이언트에 요청을 받으면 각각의 서블릿이 받아서 service -> dao ->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과정을 거쳤었다. ..
- 함수 표현식 //f(x,y) = x + y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add(2, 5); 객체 : 일급객체 - 함수를 값처럼 자유롭게 사용 함수 리터럴로 생성한 함수 객체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함수정의---------------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함수호출-------------- var result = add(2, 5); console.log(result); //7 // 변수에 함수 리터럴을 할당 var f =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함수 리터럴의 함수이름은 생략할 수 있다. = 익명함수 함수 선언문 = "표..
원시 타입과 객체타입으로 구분 --원시타입 : 변경불가능한 값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 --객체(참조)타입의 값: 변경가능한 값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할당된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값이 저장. -원시값- 원시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불가능한 값이다.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값으로서 변경할 수 없다. //----------------원시 타입과 객체타입으로 구분---------------- //원시타입 : 변경불가능한 값 //객체(참조)타입의 값: 변경가능한 값 const o = {};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 금지된다.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이다.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
객체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 등) 모두 객체이다. 원시값은 단 하나의 값만 나타낸다.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다. ▷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 immutable value ▷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가능한 값 mutable value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var person = { name: "Lee", //프로퍼티 age: 20, //프로퍼티 }; 메서드 모든 값은 프로퍼티값이 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일급객체이므로 값으로..
협업하기 (소규모) 팀프로젝트 시나리오 - 3~4명 - Grean 팀장 - meta 팀원 자격증명관리자 windows -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 이름을 확인함 Mac - 키체인-> 로그인-> 깃헙 확인 레파지토리 생성 전체 세팅을 함 git clone [레파지토리주소] 파일생성이 되고 파일을 다시 열기 README.md 파일 작성 예시로 기능정리를 README 파일안에 기술한다. 환경설정하기 환경설정을 완료하였다고 하면 git add. 와 commit을 한다. git log로 확인하기 환경세팅이 완료되었고 여기서 바로 파일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브런치를 먼저 만든다. 브렌치명: dev git checkout -b dev ▷ 파일 git에 올리기 최초에 올릴 때는 git push --all 을 사용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