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분류 전체보기

타입 변환 명시적 타입 변환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타입이 있다.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이라고 한다. 암묵적 타입 변환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변환되기도 한다.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이라고 한다. 원시 값은 변경불가능한 값이다. 변경할 수 없는 것이며 타입변환이란 기존 원시값을 사용해 다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위의 암묵적 타입변환 예제를 보면 +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문자열이 있을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숫자 타입의 x 가 문자타입으로 타입이 변환된다. 값의 변경이 아닌 타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즉..

var score = 100; //변수 선언과 값의 초기화 변수 score와 리터럴 100이 있다. 숫자 값 100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공간을 살펴보겠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리터럴 100을 숫자타입의 값으로 해석 숫자 타입의 값 100을 저장하기 위해 8바이트 메모리 공간을 확보함 100을 2진수로 저장 값을 참조하는 경우 식별자 score를 통해 숫자 타입의 값 100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찾아갈 수 있다. 값을 참조하려면 한번에 읽어들어야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 즉 메로리 셀의 개수(바이트수)를 알아야한다. score변수의 경우, 저장되어 있는 값이 숫자 타입이므로 8바이트 단위로 읽어 들이지 않으면 값이 훼손된다. 숫자 타입은 8바이트 단위로 저장되므로, score변수를 참조하..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숫자타입 ECMAScript 사양에 따르면 숫자 타입의 값은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른다. 즉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하며 정수만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타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숫자 타입이다. var integer = 10; //정수 var double = 10.12; //실수 var negative = -20; //음수 자바스크립트의 숫자타입은 정수만을 위한 타입이 없고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한다. 정수로 표시된다고 하여도 실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정수로 표기되는 수끼리 나누면 실수가 나올 수 있다. //숫자 타입은 모두 실수로 처리된다. console.log(1 ===1.0); //true console.log(4/2); //..

리터럴 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미리 약속된 기호(' ' , "" ,{} . [], // 등) 표기한 코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한다. 즉 리터럴은 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약속한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표현식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이다. 표현식이 평가되면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 값을 참조한다. 앞서 다룬 리터럴은 값으로 평가된다. var score = 200; var score = 50 + 50; 200은 리터럴이다. 리터럴 200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평가되어 값을 생성하므로 리터럴은 그 자체로 표현식이..

리터럴과 연산자 10 + 20 +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 연산자의 좌변과 우변의 숫자 값, 즉 피연산자를 기억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다. 메모리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비트)이며, 컴퓨터는 메모리 셀의 크기, 즉 1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들인다.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2진수로 처리한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의 종류(숫자, 텍스트, 이미지 , 동영상등) 상관없이 모두 2진수로 저장된다. 숫자 10 과 20은 메모리 상의 임의의 위치에 기억(저장) 되고 CPU 는 이 값을 읽어 들여 연산을 수행한다. 편의상 10진수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며 모든 값은 2진수로 저장이 되어 기억된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

ex03 폴더 생성 ex03 폴더 -> git besh 열기 git init text1.txt 생성 git add . 과 git commit -m 하기 text2.txt도 만들어서 앞에 과정과 같이 진행한다. 로그는 "두두번째 사진" 으로 한다. 로그를 잘못 남겼을 때 되돌리기 명령어 Soft : master부분에만 바뀜 , 즉 커밋로그 변경시 사용 mixed : 작업영역의 파일만 바뀌고 add 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감, 즉 작업영역의 내용변경이 필요할 때 hard : 처음상태로 복귀 Soft 예시 text2.txt의 "두두번째 사진" 이라는 로그를 "2번째 사진"으로 바꾸고 싶을 때 git reset --soft 해쉬코드값을 적어준다. 그리고 status로 상태를 확인한다. add . 만 되어 있는 상..
Ajax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기능이다. 이전까지는 html 이 화면을 전부 렌더링하는 방식이었다. 그렇기때문에 화면이 전환되면 새로운 html이 열리게 되고 전체를 다시 렌더링하였다. 이것의 불편한 점은 매번 새롭게 계속 렌더링하는 것이었다. 바뀌지 않은 부분도 화면 전체를 바꿔주었던 것과 화면이 전환되면서 순간적으로 깜빡거리면서 바뀌는 현상이 발생이 되었다. Ajax의 등장으로 인해 이러한 불편한 점이 바뀌게 되었다. 변경할 필요 없는 부분을 다시 렌더링하지 않고, 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만 전송받아 변경해야하는 부분만 한정적으로 렌더링해주었다. 그럼으로써 기존에 Html로 새롭게 렌더링할때 페이지가 깜빡거리는 현상이 없어지고 빠른 성능과 ..